본문 바로가기

it관련

TRUNC함수의 이해

반응형

TRUNC함수의 이해


 엑셀에 상당한 지식이 있는 분들도 TRUNC함수를 정확히 알고 있는 이가 별로 없는 것 같다.

교제에서 조차 이에대한 설명이 제데로 되어 있는 책을 필자는 보지 못했다.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자 INT함수와 ROUNDDOWN함수와 TRUNC함수의 차이점을 알아야 한다.

 

먼저 ROUNDDOWN함수와 TRUNC함수와의 차이를 알아 보면

자리수를 지정하는경우 자리수 이하를 버린다는데서 양 함수는 동일 하다.

차이점이라면 ROUNDDOWN함수는 반드시 자리수를 지정해 주어야 하고 자리수를 지정치 않으면 결과값을 얻을 수 없다.

그러나 TRUNC함수는 자리 수를 지정하지 않으면 소수점 이하를 버리고 정수를 취한다.

ROUNDDOWN함수를 사용해도 자리수를 0으로 하면 동일한 결과가 나타난다.

즉 정수를 구할때 자리수를 지정해 주어야 되느냐 지정해 주지 않아도 되느냐 하는 차이 외에는 동일하다.

 

다음은 INT함수와 TRUNC함 수의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면

INT함수는 자리수 지정 자체가 없으며 현재의 값보다 같거나 작은 정수의 값을 나타낸다

TRUNC함수는 자리수를 지정하는 경우는 위에 설명 하였으니 생략하고 자리수를 지정하지 않았을 경우만 설명 하겠다.

TRUNC함수는 무조건 소수점 이하는 버리고 소수점 이상은 동일 하다.

따라서 양수(+)의 경우에는 차이가 없이 동일한 결과를 나타낸다.

그런데 음수(-)의 경우를 한번 보자.

여기 -5.78이라는 숫자가있다고 가정 하자.

TRUNC(-5.78)은 -5가 된다.

INT(-5.78)은 이보다 작은 정수가 얼마인가? 그렇다. -6이 된다.

위에서 INT함수는 현재의 값보다 같거나 작은 정수의 값을 나타낸다고 했으니 -5가 아닌가?  의문을 제기 할 수도 있겠는데 여기서 같다는 의미는 소수점이 없는 -5자체를 대입 했을 경우를 의미한다.

즉 INT(-5)는 -5가 된다.

그래서 실전문제에서는 INT합수나 ROUNDDOWN함수를 많이 사용하고 TRUNC는 잘 사용 안한다.

그러나 컴활 1급 시험의 경우 조건으로 TRUNC합수를 사용하라고 하는 경우 반드시 이 합수를 사용 해야 점수를 받게된다.

 

그러면 TRUNC함수는 왜 있는 것일까?

비교의 대상은 ROUNDDOWN함수가 아니라 INT함수와의 관계에 있다.

그것도 음수(-)중 소수점 이하를 버린 정수를 구할 필요가 있을때 이 함수를 이용하는 것이 편리하기 때문이다. 부가적 설명을 덧붙이면 ROUNDDOWN함수에서는 인수를 0으로 지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INT함수에서는 +1를 해주어야 되는 번거로움이 있기 때문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