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데이터베이스의 특징
데이터베이스는 여러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얻기 위해서 모아둔 자료의 집합이다. 학원에서 어느 학생이
어떤 과목을 수강하는지의 정보를 기록한다든지, 여행사에서 항공기 좌석을 예약하면 모든 예약 정보가
기록되어야 한다는지 할 경우에 데이터베이스가 사용된다.
데이터베이스 특징
어느 한 조직의 응용 시스템들이 공유해서 사용하는 통합 저장된 운영 데이터들은
다음과같은 특징이 있다.
1) 실시간 접근이 가능(real-time accessibilities)
수시적이고 비정형적인 질의(query)에 대하여 실시간 처리(real-time processing)로 응답할 수 있어야
한다.
2) 계속적인 변화(continuous evolution)
새로운 데이터의 삽입(insertion)이나, 기존 데이터의 삭제(deletion), 또는 갱신(update)으로
항상 변하고, 그 속에서 현재의 정확한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다.
3) 동시 공유 가능(cooncurrent sharing)
여러 사용자(multi-user)가 동시에 자기가 원하는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다.
4) 내용에 의한 참조 가능(content reference)
데이터의 레코드 위치(location)나 주소(address)가 아닌 사용자가 요구하는 데이터의 내용(contents),
즉 데이터가 가지고 있는 값에 따라 참조된다. 모든 레코드들은 물리적 위치와 상관없이 하나의 논리적
단위로 취급되고 접근된다.
반응형
'it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의 기초 (0) | 2017.05.15 |
---|---|
스레드란 (0) | 2017.05.14 |
C 언어 와 Java 의 역사 (0) | 2017.05.13 |
RepRap 프로젝트 (0) | 2017.05.13 |
프로세스의 개요 (0) | 2017.05.12 |